이용교의 복지평론
상담원이 생각하는 청소년문제와 그 대책(토론모음집)
밝은얼굴
2002. 7. 22. 22:32
2002년 7월 22일 밤에
광주광역시여성발전센터에서
전문상담원 교육을 받는 수강생 여러분이
이용교의 <청소년문제와 복지 강의를 듣고
"내가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청소년문제"를 토론하였습니다.
4개조에서 토론을 마치고 종합한 의견을 보면
1조는 성문제, 공부(학업과 진학), 왕따
2조는 유해환경(음주, 흡연, 인터넷 등), 이성문제, 입시
3조는 인터넷, 흡연/음주, 성적, 가출
4조는 일으키는 문제로 약물중독, 가출, 학교폭력, 성문제, 음주/흡연을 그리고 청소년이 처한 현실로 입시문제, 왕따, 유해환경, 가족해체, 놀이공간 부족으로 인한 인터넷 중독을 제시했습니다.
30여명이 토론한 바에 따르면
성적-공부-입시에 대한 문제가 가장 많이 제시되었고, 그 다음은 성문제와 이성문제이며, 유해환경과 인터넷이 일으키는 문제에 대해서도 문제의 심각성을 제기하였습다.
이어서 대표적인 문제인 성문제, 유해환경, 인터넷, 약물오남용에 대한 집단토론을 하였습니다. 해당 문제를 예방하거나 조기에 개입하는 방안, 혹은 완화시키는 방안에 대해서 수강생들은 이렇게 토론했습니다.
1조 성문제의 대책- 부모교육, 단계적 성교육, 건전한 놀이공간의 확대
2조 유해환경의 대책- 예방교육, 철저한 법적 조치, 가정교육/놀이공간 확보
3조 인터넷- 강개된 장소에 설치, 부모의 철저한 감독, 잠금장치, 음란사이트의 법적인 규제
4조 약물오남용- 예방교육(학교, 단체), 여가선용, 지속적인 관심, 판매규제 강화, 치료프로그램(심리적, 정신적, 신체적 등)
각 조별 토론을 보면, 청소년문제는 다르지만 이에 대한 대책은 몇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예방교육, 부모교육, 단계적 교육과 같이 예방조치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청소년과 함께 부모교육과 관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는 점입니다.
다음으로 건전한 놀이공간의 제공, 여가선용, 놀이공간 확보와 같이 청소년이 즐겁고 활기차게 보낼 수 있는 여가/여가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는 점입니다.
아울러, 유해환경에 대한 법적 규제 등 이미 있는 법적 규제를 보다 엄격히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많았습니다.
3조의 경우 인터넷에 대한 규제적 조치만 강조한 감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 다른 조에서 이렇게 하면 청소년이 가출하거나 피시방으로 탈출하게 될 것이라고 하며, 규제와 함께 유익한 환경의 조성의 중요성을 제안하였습니다.
이러한 토론이 수강생 여러분의 공감과 생각나눔에 크게 기여하였길 빕니다.
수강생 중에서
내가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청소년문제를 아주 자세히 쓴 의견이 하나 있어서 여기에 소개합니다.
1. 핸드폰에 너무 의존한다. 혼자 있지 못하고 통화를 하면서라도 둘이라는 의식을 갖고 있다.
2. 범죄의식이 약하다. 남의 물건을 가지고 가서도 별로 미안한 마음을 느끼지 못한다.
3. 공부를 잘하면 다른 것은 하지 않아도 된다는 성적 위주의 양심 무방비상태가 된다.
4. 남년성관계를 그냥 사귄다, 놀았다, 따먹었다로 표현한다.
5. 가정사에 너무 관심이 없다.
6. 부모의 문제보다는 친구문제에 더 관심을 갖고 거의 대부분을 친구와의 관계로 사람이 완성되는 것처럼 생각한다.
7. (물질풍요로) 받는 것에 대한 고마움을 모른다.
8. 교사의 권위가 너무 없어서 어려워 하지 않는다.
9. 교사의 돈을 빌렸어도 갚지 못한 것에 대해 미안한 마음도 없다.
10. 너무 이기적이다. 어쩔땐 포악하다.
11. 성과 관련한 문제에 어중간하게 알고 있는 것을 혼자 제일 정확하게 아는 것으로 생각한다.
12. 본인 보호의식은 강하고 다른 사람은 마구 짓밟는다. 자기만 제일이다. 가정에서 혼자만 대우받고 살았으므로 단체에서도 그래야 한다고 생각한다.
13. 호의적이지 못하다.
14. 순간만 모면하면 된다(고 생각한다).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해주신 여러분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 이용교의 복지평론을 이메일로 받아보길 원하는 사람은
- www.daum.net 의 초기화면에서 밑에서 3번째줄에 있는 칼럼 을 클릭
- 오른쪽 상단에 있는 빈칸에 복지평론 을 쓴후에 검색 클릭
- 이용교의 복지평론 을 클릭하여 이곳 저곳을 읽어본다.
- 가입을 클릭하고 본인의 이메일과 비밀번호를 쓴 후에 로그인
- 이메일로 도착하면 읽어보고 <나도 한마디> 등에 의견을 남긴다.
- 혹시 내용이 맘에 들면 주변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서 <복지평론>을 복지여론의 산실로 함께 키운다.
감사합니다.
광주광역시여성발전센터에서
전문상담원 교육을 받는 수강생 여러분이
이용교의 <청소년문제와 복지 강의를 듣고
"내가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청소년문제"를 토론하였습니다.
4개조에서 토론을 마치고 종합한 의견을 보면
1조는 성문제, 공부(학업과 진학), 왕따
2조는 유해환경(음주, 흡연, 인터넷 등), 이성문제, 입시
3조는 인터넷, 흡연/음주, 성적, 가출
4조는 일으키는 문제로 약물중독, 가출, 학교폭력, 성문제, 음주/흡연을 그리고 청소년이 처한 현실로 입시문제, 왕따, 유해환경, 가족해체, 놀이공간 부족으로 인한 인터넷 중독을 제시했습니다.
30여명이 토론한 바에 따르면
성적-공부-입시에 대한 문제가 가장 많이 제시되었고, 그 다음은 성문제와 이성문제이며, 유해환경과 인터넷이 일으키는 문제에 대해서도 문제의 심각성을 제기하였습다.
이어서 대표적인 문제인 성문제, 유해환경, 인터넷, 약물오남용에 대한 집단토론을 하였습니다. 해당 문제를 예방하거나 조기에 개입하는 방안, 혹은 완화시키는 방안에 대해서 수강생들은 이렇게 토론했습니다.
1조 성문제의 대책- 부모교육, 단계적 성교육, 건전한 놀이공간의 확대
2조 유해환경의 대책- 예방교육, 철저한 법적 조치, 가정교육/놀이공간 확보
3조 인터넷- 강개된 장소에 설치, 부모의 철저한 감독, 잠금장치, 음란사이트의 법적인 규제
4조 약물오남용- 예방교육(학교, 단체), 여가선용, 지속적인 관심, 판매규제 강화, 치료프로그램(심리적, 정신적, 신체적 등)
각 조별 토론을 보면, 청소년문제는 다르지만 이에 대한 대책은 몇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예방교육, 부모교육, 단계적 교육과 같이 예방조치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청소년과 함께 부모교육과 관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는 점입니다.
다음으로 건전한 놀이공간의 제공, 여가선용, 놀이공간 확보와 같이 청소년이 즐겁고 활기차게 보낼 수 있는 여가/여가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는 점입니다.
아울러, 유해환경에 대한 법적 규제 등 이미 있는 법적 규제를 보다 엄격히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많았습니다.
3조의 경우 인터넷에 대한 규제적 조치만 강조한 감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 다른 조에서 이렇게 하면 청소년이 가출하거나 피시방으로 탈출하게 될 것이라고 하며, 규제와 함께 유익한 환경의 조성의 중요성을 제안하였습니다.
이러한 토론이 수강생 여러분의 공감과 생각나눔에 크게 기여하였길 빕니다.
수강생 중에서
내가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청소년문제를 아주 자세히 쓴 의견이 하나 있어서 여기에 소개합니다.
1. 핸드폰에 너무 의존한다. 혼자 있지 못하고 통화를 하면서라도 둘이라는 의식을 갖고 있다.
2. 범죄의식이 약하다. 남의 물건을 가지고 가서도 별로 미안한 마음을 느끼지 못한다.
3. 공부를 잘하면 다른 것은 하지 않아도 된다는 성적 위주의 양심 무방비상태가 된다.
4. 남년성관계를 그냥 사귄다, 놀았다, 따먹었다로 표현한다.
5. 가정사에 너무 관심이 없다.
6. 부모의 문제보다는 친구문제에 더 관심을 갖고 거의 대부분을 친구와의 관계로 사람이 완성되는 것처럼 생각한다.
7. (물질풍요로) 받는 것에 대한 고마움을 모른다.
8. 교사의 권위가 너무 없어서 어려워 하지 않는다.
9. 교사의 돈을 빌렸어도 갚지 못한 것에 대해 미안한 마음도 없다.
10. 너무 이기적이다. 어쩔땐 포악하다.
11. 성과 관련한 문제에 어중간하게 알고 있는 것을 혼자 제일 정확하게 아는 것으로 생각한다.
12. 본인 보호의식은 강하고 다른 사람은 마구 짓밟는다. 자기만 제일이다. 가정에서 혼자만 대우받고 살았으므로 단체에서도 그래야 한다고 생각한다.
13. 호의적이지 못하다.
14. 순간만 모면하면 된다(고 생각한다).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해주신 여러분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 이용교의 복지평론을 이메일로 받아보길 원하는 사람은
- www.daum.net 의 초기화면에서 밑에서 3번째줄에 있는 칼럼 을 클릭
- 오른쪽 상단에 있는 빈칸에 복지평론 을 쓴후에 검색 클릭
- 이용교의 복지평론 을 클릭하여 이곳 저곳을 읽어본다.
- 가입을 클릭하고 본인의 이메일과 비밀번호를 쓴 후에 로그인
- 이메일로 도착하면 읽어보고 <나도 한마디> 등에 의견을 남긴다.
- 혹시 내용이 맘에 들면 주변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서 <복지평론>을 복지여론의 산실로 함께 키운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