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지식정보화사회에 맞는 교육도시를 만들자...

밝은얼굴 2017. 11. 27. 12:08

지식정보화 사회에 맞는 교육도시를 만들자 
이용교/광주대학교 교수·복지평론가

  • 입력날짜 : 2017. 11.26. 19:01












광주는 교육도시로 불린다. 다른 지역보다 학교가 많고 학생도 많아 교육도시임에 틀림없다. 해방 직후 7만 2천명 호남인이 기금을 모아 설립된 ‘조선’대학교는 민족사학을 세우겠다는 조선인의 꿈이 광주에서 실현된 것이었다. 일제강점기에 인재를 양성하여 조국의 독립과 민족의 부흥을 꿈꾼 조선인의 뜻은 이곳 광주에서 구현되었다.
http://www.kjdaily.com/read.php3?aid=1511690468423873028


세월이 흘러 교육도시 광주의 명성은 점차 줄고 있다. 대한민국 부가 수도권으로 몰리기에 인재들이 서울로 향하고 있다. 한번 서울로 간 인재는 광주로 돌아오기보다는 수도권에 머무는 경향이 있다. 그곳에서 직장을 다니고 가정을 이루다보면 광주는 고향으로 남을 뿐이다. 


교육도시 광주의 명성을 잇는 길은 고등교육기관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명문대에 학생을 몇 명 입학시키는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학교를 광주에 만들어야 한다. 수험생과 가족들은 전남대학교가 전남이 아닌 광주에 있는지, 광주대학교는 국립이 아닌지에 별로 관심이 없다. 지원자들은 대학교의 평판이나 자신이 그 대학을 나올 때 도움이 되는지에 관심이 높다. 

조선시대에는 서당에서 공부하여 실력을 쌓고 소과에 합격하면, 향교에서 공부하며 대과에 합격하면 성균관에서 공부할 수 있었다. 당시 광주에 있는 유일한 관립 학교는 광주향교이었고, 1895년 개교한 전남관찰부공립소학교(현 서석초등학교)도 그곳에서 시작되었다. 당시에는 왕과 의정부가 있는 한양에 사는 것이 중요했지만, 교통과 통신이 발달하면서 지역의 격차는 줄어들 수 있다. 

좋은 고등교육기관이 있는 지역이 지속 가능한 곳이다. 대한민국 최고의 대학교가 있는 지역, 지구촌 사람들이 배움을 위해 찾아오는 학교가 있을 때 그 지역은 발전할 수 있다. “청년이 돌아오는 지역”을 외치기 전에 “청년이 떠나지 않는 지역”을 만들어야 한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고등교육기관의 발전을 위해 사회적 논의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지역 대학교는 지방정부와 느슨한 관계를 유지한다. 유치원과 초/중학교는 교육지원청의 지원을 받고, 고등학교는 시/도교육청의 지원을 받지만, 대학교는 교육부의 지도감독을 받는다. 특정 지역에 있는 대학교는 해당 지방정부와 긴밀한 관계가 없다. ‘한전공대’를 어떻게 설립할 것인가와 같은 이슈도 책임있게 논의할 체계가 없는 셈이다. 고등교육의 발전을 위해 적절한 권한을 갖고 상응하는 책임을 지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시대를 선도하는 교육과 자원을 창출하는 교육을 해야 한다. 광주에는 다른 지역보다 대학교가 많지만 중소규모 사립학교가 대부분이다. 학교를 설립하기 위해 교지/교사/교직원/수익용 기본재산 등이 필요한데, 개설 학과는 투자가 적게 드는 인문학과 사회과학 등에 집중하였다. 새로운 직업은 공학, 보건의료학 등에서 많이 창출되는 것과 어긋났다. 이 때문에 대학교 졸업자는 많지만 시대의 흐름에 맞는 직업에 취업하기는 어렵다. 이제 대학교에 가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자원을 창출하는 직업을 얻은 수 있는 학과에 진학하느냐가 중요하다. 산업구조와 노동시장의 변화를 예측하며 끊임없이 교육을 혁신하지 않으면 안된다. 

모든 고등교육기관이 재학생을 위해 혁신적인 교육을 하고, 시민을 위한 고등교육을 획기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과거에는 대학교에서 배운 내용으로 평생을 살 수도 있었지만, 산업과 트랜드가 빠르게 바뀌어 끊임없이 배우지 않으면 안된다. 대학교는 재학생을 위한 교육을 혁신하고, 졸업생을 위한 재교육, 현직 근무자와 관심있는 시민을 위한 교육에 좀 더 역점을 두어야 한다. 

대학교 평생교육원을 통해 취미교육을 하는 틀과 수준을 확 벗어나야 한다. 예컨대, 제품의 품질은 비슷한데 디자인에 의해 가격이 결정된다면 대학교는 관련 재직자를 위해 정원외 특례입학과 편입학, 계절학기, 대학원 과정, 온라인 과정 등을 개설해야 한다. 취업에 도움이 되는 일부 국가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평생교육이 아닌 시민의 교육력을 획기적으로 높이기 위한 교육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좋은 고등교육이 삶의 질을 결정한다. 
/ewelfare@hanmail.net   [광주매일신문 2017년 11월 27일] 

http://cafe.daum.net/ewelfare/24PP/30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