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자살률 여전히 높다
이용교
(광주대학교 교수, 복지평론가)
코로나19가 확산된 2020년 우리나라 자살자 수는 전년보다 조금 줄었지만 자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 특히 청소년 자살률은 꾸준히 증가되었다.
<자살은 생명을 끊는 사회적 행위이다>
자살의 사전적 정의는 ‘스스로 생명을 끊는 행위’이다. 자살의 원인은 복잡하고 파악이 어렵지만 통계에 의하면 염세, 병고, 신경쇠약, 실연, 가정불화가 가장 큰 원인을 차지한다. 시대적으로 다양한 발생상황을 보이는데 자살률이 높은 나라로는 한국, 리투아니아, 러시아, 벨라루스 등이며 낮은 나라로는 이탈리아, 영국, 스페인 등이 있다.
자살행위의 결과에 따라, 치명적인 자살과 비치명적인 자살(자살미수)로 구분하는 경향이 있다. 대체로 자살은 사회적으로 비난 받았지만, 특정인의 자살(예, 승려의 소신공양, 무사의 활복자살 등)은 찬양 받기도 했다.
<코로나19 시대에 자살률은 조금 낮아졌다>
보건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 발간한 ‘2022 자살예방백서’에 따르면, 2020년 대한민국 자살자 수는 1만3195명으로 전년보다 604명(4.4%) 감소했다. 인구 10만명당 자살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 자살률은 2020년에 25.7명으로 전년 대비 1.2명(4.4%) 줄었다. 최고치를 기록했던 2011년과 비교하면 자살자 수는 2711명(17.0%), 자살률은 6명(19.0%) 감소했다. 자살은 2020년 사망원인 중 5위에 해당하고, 10∼30대에서는 사망원인 1위다.
<한국은 OECD 회원국가 중 가장 높다>
우리나라에서 자살률이 조금 감소했지만,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OECD 회원국과 비교하기 위한 최신 자료인 2019년 통계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자살률은 24.6명(연령표준화값)으로 회원국 중 가장 높다. OECD 평균인 11.0명의 2.2배에 달하는 수치다. 한국은 2016년과 2017년을 제외하고 2003년부터 OECD 회원국 중 자살률 1위라는 오명을 지우지 못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2020년을 기준으로 해도 국내 연령표준화 자살률은 24.5명으로 OECD 1위라고 밝혔다. 원소윤 자살예방정책과장은 “OECD 자살률 1위에서 탈피하기 위해 자살예방기본계획 수립을 추진하는 등 여러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령이 높은 남자가 더 많이 자살한다>
자살률은 성별, 연령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다. 통계분석에 따르면, 성별・연령대별로는 남성과 50대에서 가장 많은 자살자가 발생했다. 전체 자살 사망자 중 68.9%가 남자이고, 여자는 31.1%이었다.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은 남자가 35.5명으로 여자 15.9명의 2.2배에 달했다.
연령대별로는 50대 자살자 수가 2606명으로 가장 많았고, 40대(2405명), 60대(1937명)가 뒤를 이었다. 자살률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증가해 80대 이상의 자살률이 62.6명으로 가장 높았고, 70대(38.8명), 50대(30.5명) 순이다. 전년과 비교해서는 10대∼30대에서 자살률이 증가했고, 40대 이상에서는 감소했다.
눈에 띄는 것은 청소년(9∼24세) 자살이 증가했다는 점이다. 청소년 자살자 수는 957명으로 전년보다 81명(9.2%) 증가했고, 자살률은 11.1명으로 전년보다 1.2명(12.2%) 늘었다. 청소년 자살률은 2016년 7.7명에서 지속해서 증가 추세이다.
<가사·무직이 더 많이 자살한다>
직업별 자살자 수는 학생·가사·무직이 58.9%이고, 그 다음은 서비스·판매 종사자(10.2%), 사무 종사자(9.2%) 순으로 많다. 자살 원인으로는 정신적 문제가 38.4%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경제생활 문제(25.4%), 육체적 질병 문제(17.0%), 가정 문제(7.0%) 순으로 뒤따랐다.
이를 성별로 보면, 남자는 경제생활 문제(31.8%)와 정신적 문제(30.2%), 여자는 정신적 문제(56.4%), 육체적 문제(15.9%)로 자살하는 경우가 많았다. 남자 자살자 중 10·20대는 정신적 어려움, 30∼50대의 자살 동기는 경제적 어려움, 60대 이상은 육체적 어려움이 높았다. 여자는 모든 연령대에서 정신적 어려움 때문에 자살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자살자 수는 경기(3129명), 서울(2161명), 부산(921명) 순으로 많았지만, 연령 표준화 자살률을 보면 충남(27.9명), 제주(25.5명), 강원(25.4명) 순으로 높았다. 자살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계절은 여름으로 7월(9.3%), 8월(9.0%)에 많았고, 12월(6.9%)이 가장 적었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 자살예방정책과장은 “청년층 자살 증가에 주목하고 있다. 정신적 문제가 주요 동기이고, 경제적 문제와 코로나19 우울감, 자살 사고율 증가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원인에 맞는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자살시도로 응급실을 찾는 여성이 많다>
자살자는 남성이 많지만, 자살시도를 하다 병원 응급실을 찾는 경우는 여성이 더 많다. 응급실에 내원한 자해·자살 시도자(34,905명)는 여성이 60.7%를 차지해 남성(39.3%)의 1.54배로 많았다. 연령별로는 20대가 28.7%로 가장 많고 40대(15.1%), 30대(15.1%) 순이었다. 여성의 경우 우울증이나 조현병, 공황 등 정신적 문제로 자살 시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목숨을 잃는 치명적 자살의 경우 주변 사람들은 대개 자신들이 좀 더 큰 관심과 애정을 보였다면 자살을 막을 수도 있었다는 자책과 슬픔에 빠지게 된다. 미수로 끝난 자살의 경우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이끌어내 그들과의 관계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경우가 많다. 자살을 하는 사람들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간에 친밀한 사람과의 관계 개선을 기대하는 경향이 있다.
<누구든지 자살예방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
2022 자살예방백서는 보건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누구든지 접근할 수 있다. 이 책은 2014년부터 매년 발간되고 있다. 자살예방백서를 발간한 보건복지부 자살예방정책과장은 “국가적 재난·위기 시기에는 국민적 단합력이 발휘돼 자살률이 감소한다는 통계가 있지만, 위기와 재난의 시기가 지나고 2∼3년 동안은 다시 증가한다는 사례 분석이 있다”고 경계했다.
자살률을 확실하게 줄일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은 없으나 정신질환의 조기 발견과 치료는 자살억제에 큰 도움이 된다. 1950년대 이래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자살방지를 위한 특별상담기구나 기관들이 생겼다. 이들 상담기관들은 대부분 전문 의료기관은 아니지만 정신건강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관련 상담원들을 두고 있으며, 도움을 필요로 하는 고독과 절망에 빠진 사람들은 대개 전화를 통해 항상 대기중인 상담원들과 대화를 나눈다. 이런 종류의 상담제도는 자살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누구든지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상담을 무상으로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전화는 365일 하루 24시간 가동되고 있기에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부담 없이 걸 수 있다. 많은 사람은 해결하기 어려운 고민을 자살시도로 호소하고, 살기 위해 애쓰다 마지막 순간에 자살에 이른 경우가 있다. ‘자살’을 뒤집어 ‘살자’로 아름다운 삶을 펼쳐보자.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https://kfsp.org
이용교 <광주대학교 교수, 복지평론가> ewelfare@hanmail.net
Translation into Papago
The suicide rate in our country is still high
Lee Yong Gyo
(Professor of Gwangju University, welfare critic)
In 2020, when COVID-19 spread, the number of suicides in Korea decreased slightly from the previous year, but the suicide rate was the highest among OECD member countries. In particular, the suicide rate of adolescents has increased steadily.
<Suicide is a life-saving social action>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suicide is 'the act of killing oneself'. The causes of suicide are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identify, but statistics show that mental illness, illness, nervous breakdown, broken heart, and family discord are the biggest causes. There are various outbreaks of the times, and countries with high suicide rates include Korea, Lithuania, Russia, and Belarus, while countries with low suicide rates include Italy, Britain, and Spain.
Depending on the outcome of the suicide act, there is a tendency to classify it into fatal suicide and non-fatal suicide (attempt to commit suicide). In general, suicide was criticized socially, but certain people's suicide (e.g., monk's devotion to the gods and the suicide of a samurai) was also praised.
<In the era of COVID-19, the suicide rate decreased a little>
According to the "2022 Suicide Prevention White Paper"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Life Respect Hope Foundation, the number of suicides in Korea in 2020 was 13,195, down 604 (4.4%) from the previous year. The suicide rate, which represents the number of suicide deaths per 100,000 people, was 25.7 in 2020, down 1.2 (4.4%) from the previous year. Compared to 2011, when it reached its highest level, the number of suicides decreased by 2,711 (17.0%) and the suicide rate decreased by 6 (19.0%). Suicide is ranked fifth among the causes of death in 2020, and the number one cause of death in people in their 10s and 30s.
<Korea is the highest among OECD member countries>
Although the suicide rate has decreased a little in Korea, it is still the highest in the world. Based on 2019 statistics, the latest data for comparison with OECD member countries, Korea's suicide rate is 24.6 people (age standardization value), the highest among member countries. The figure is 2.2 times higher than the OECD average of 11.0. Except for 2016 and 2017, Korea has not been stigmatized as the No. 1 suicide rate among OECD member countries since 2003.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aid that as of 2020, the suicide rate for age standardization in Korea was 24.5, ranking first in the OECD. Won Won-yoon, head of the suicide prevention policy division, said, "We are considering various methods, such as pushing for the establishment of a basic plan for suicide prevention to break away from the top suicide rate in the OECD."
<Older Men Suicide More>
Suicide rates vary considerably by gender and age. According to statistical analysis, by gender and age group, men and those in their 50s committed the most suicides. Of the total suicide deaths, 68.9% were men and 31.1% were women. The suicide rate per 100,000 people was 35.5 men, 2.2 times that of 15.9 women.
By age group, the number of suicides in their 50s was the highest at 2606, followed by those in their 40s (2405) and those in their 60s (1937). The suicide rate increased as the age group increased, with 62.6 people in their 80s and older, followed by those in their 70s (38.8) and those in their 50s (30.5).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 suicide rate increased in the teens and 30s, and decreased in the 40s and older.
What is noticeable is that suicide among teenagers (9-24) has increased. The number of youth suicides was 957, up 81 (9.2%) from the previous year, and the suicide rate was 11.1, up 1.2 (12.2%) from the previous year. The youth suicide rate continues to increase from 7.7 in 2016.
<Housework and unemployment kill more people>
The number of suicides by occupation is 58.9% for students, households, and unemployed, followed by service and sales workers (10.2%) and office workers (9.2%). Mental problems were the most common causes of suicide with 38.4%, followed by economic life problems (25.4%), physical disease problems (17.0%), and family problems (7.0%).
Looking at this by gender, men often committed suicide due to economic life problems (31.8%), mental problems (30.2%), women (56.4%) and physical problems (15.9%). Among male suicides, those in their 10s and 20s had high mental difficulties, economic difficulties in their 30s and 50s, and physical difficulties in their 60s and older. It was found that women of all ages chose to commit suicide due to mental difficulties.
The number of suicides by region was higher in Gyeonggi (3129), Seoul (2161), and Busan (921), but the age-standardized suicide rate was higher in Chungnam (27.9), Jeju (25.5), and Gangwon (25.4). The most common season of suicide was summer, with 9.3% in July and 9.0% in August, and 6.9% in December.
In response, the director of suicide prevention policy at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aid, "We are paying attention to the increase in suicide among young people Mental problems are the main motives, and economic problems, COVID-19 depression, and increased suicide rate are believed to have an impact," he said, adding that he will take measures suitable for the cause.
<Many women visit the emergency room in suicide attempts>
There are many men who commit suicide, but more women visit the hospital emergency room while attempting to commit suicide. Women accounted for 60.7% of the self-harm and suicide attempts (34,905) who visited the emergency room, 1.54 times more than men (39.3%). By age, those in their 20s accounted for 28.7%, followed by those in their 40s (15.1%) and those in their 30s (15.1%). In the case of women, it is analyzed that the rate of suicide attempts increases due to ment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schizophrenia, and panic.
In the case of fatal suicides that actually lose their lives, people around them usually fall into self-control and sadness that they could have prevented suicide if they showed greater interest and affection. In the case of attempted suicide, it often helps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them by drawing help from people around them. People who commit suicide tend to expect improved relationships with intimate people, whether conscious or unconscious.
<Anyone can be interested in suicide prevention>
The 2022 suicide prevention white paper is posted on the website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Life Respect Hope Foundation and can be accessed by anyone. The book has been published every year since 2014. "There are statistics that the suicide rate decreases due to national unity during times of national disaster and crisis, but there is a case analysis that increases again for two to three years after the crisis and disaster," said the head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re is no special way to reliably reduce the suicide rate, but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mental illness are very helpful in suppressing suicide. Since the 1950s,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established special counseling bodies and institutions to prevent suicide. Most of these agencies are not specialized medical institutions, but they have counselors related to mental health, social welfare, and psychology, and lonely and desperate people who need help usually talk to waiting counselors over the phone. This kind of counseling system has been shown to help curb suicide.
Therefore, if anyone has difficulties in speaking such as depression or family members or acquaintances around them, they can receive counseling free of charge at the suicide prevention hotline 1577-0199, Hope Phone 129, Life Phone 1588-9191, Youth Phone 1388. These phones are operated 24 hours a day 365 days a year, so anyone can make calls anytime, anywhere. Many people complain of difficult problems to solve as suicide attempts, and sometimes they reach suicide at the last minute while trying to live. Let's turn over "suicide" and lead a beautiful life with "liv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ttp://www.mohw.go.kr
Korea Life Respect Hope Foundation https://kfsp.org
Lee Yong-gyo, Professor of Gwangju University, Welfare Reviewer: ewelfare@hanmail.net